빅솔론 프린터 USB, RS232 등 케이블 꿀팁 정리!

2024. 5. 24. 17:30바코드 제품 소개 및 추천/바코드프린터


 안녕하세요, 유니정보입니다. 바코드프린터나 영수증프린터를 처음 구매하시는 분들이 가장 많이 겪는 어려움 중 하나는 어떤 종류의 케이블을 사용해야 하는지 모른다는 점입니다. 특히 USB 케이블과 RS232 케이블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혼란이 있습니다.

 사실 프린터의 기능에는 케이블 종류에 따른 차이가 없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USB 케이블로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특히 노트북 사용자라면 요즘 노트북에는 시리얼(RS232) 포트가 거의 없기 때문에 USB 연결이 더 편리합니다. 시리얼 포트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변환 젠더를 구매하여 사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빅솔론 SRP-350III 영수증프린터를 예로 들어 프린터 케이블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모델은 USB와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USB와 패러럴 인터페이스 모델, 이더넷 인터페이스 모델도 있습니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최근에는 패러럴 인터페이스 사용이 줄어드는 추세여서, 이번 설명에서는 USB와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포커스를 맞춰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

 

 

 


 빅솔론 프린터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바코드프린터와 영수증프린터는 USB A-B형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이 케이블은 회사나 가정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형태로, 사각형 끝부분은 프린터에, 직사각형 끝부분은 PC나 POS 기기에 연결됩니다. usb는 호환성이 뛰어나서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PC나 POS 기기와 연결이 가능하죠.

 SRP-350III 모델의 경우 USB 외에도 RS232 케이블도 사용합니다. 이 케이블은 한쪽은 9핀, 다른 한쪽은 25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5핀 쪽을 프린터에, 9핀 쪽을 PC나 POS 기기에 연결하면 됩니다. 이 형태의 케이블은 빅솔론 SRP-350III, SRP-330II 모델 외에도 앱손 TM-88V, TM-T88VI, 에이루트(세우) LK-TE202, SLK-TE212 모델에서도 사용됩니다.

 

 

 


 프린터나 케이블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패러럴 방식과 시리얼 방식을 혼동 하실 수 있습니다. 패러럴 방식은 일반적으로 25핀 연결을 사용하며, RS232 시리얼 통신과 구별됩니다. 시리얼 케이블 중에는 양쪽이 9핀으로 되어 있는 9:9 RS232 케이블도 있으며, 이는 앱손 TM-T83III, 세우 SLK-TS400 모델에서 사용됩니다.

 프린터마다 사용하는 RS232 케이블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특정 프린터에 맞는 케이블을 원하시면 별도로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한 프린터 케이블이나 바코드프린터, 영수증프린터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시면 아래 버튼을 클릭해 상품 페이지로 이동해 주세요.

 감사합니다.